스토리지
2. 실행 후 엔진 구경하기 본문
https://www.unrealengine.com/ko/onlinelearning-courses/your-first-hour-in-unreal-engine-4
언리얼 엔진 4와의 첫 시간 - Unreal Engine
이 언리얼 엔진 4 입문 강좌와 언리얼 에디터를 통해 프로젝트 생성, 이동, UI 탐색, 라이팅 및 블루프린트 작업의 기초를 알아봅니다.
www.unrealengine.com
다음 강좌를 보고 작성되었습니다.
1. 프로젝트 만들기
여러가지 프로젝트들이 존재한다. 튜토리얼에서는 3인칭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2. 에디터 간단하게 구경하기
로딩후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 성공한 것이다.
플레이버튼은 눌러서 실행시켜보자
뷰포트창(언리얼에서 바로 보이는 부분 게임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고 마우스를 돌리면 회전을 할 수 있다.
Unity와 똑같이 오브젝트를 클릭하고 Transform을 변경할 수 있다.
Transform의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 Scale 값도 변경할 수 있다.
월드 아웃라이너
Unity의 Hierarchy라고 생각하면 된다. 현재 월드내에 있는 모든 것을 표시해준다.
특정 오브젝트를 클릭하고 F 를 누르면 그게 어디있는지 표시해준다.
3. 레벨 제작
Unreal Engine에서 Level은 Unity에서 Scene을 뜻하는 거 같다.
- Contents 우클릭 -> 새폴더 이름 : Levels
- 브라우저에서 마우스 오른쪽 -> 레벨 클릭, 이름 : TestLevel
처음 레벨을 만들면 라이트, 메시 등 아무것도 없는 정말 빈 화면이다.
먼저 바닥을 설치해보자
필터에서 Static Mesh를 고르면 뷰포트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것만 나온다.
하지만 지금은 안보인다.
우측 상단의 라이팅 포함을 라이팅 제외(Unlit)로 바꿔주면 된다.
하지만 이렇게는 작업할 수 없다.
그래서 빛을 추가해야한다.
우측에서 라이트를 골라 Directional Light를 골라서 드래그 앤 드랍을 해주면 빛이 적용된다.
아이템의 스케일을 조절하려면 위의 방법 말고도 Detail을 통해서 수정할 수 있다.
★언리얼은 유니티와 다르게 Y축이 위쪽을 가리킵니다.★
스케일을 Reset 할때는 옆의 작은 버튼을 클릭 해 리셋할 수 있다.
오브젝트를 복사할 때는 Alt + 축으로 이동시키면 복제가 된다.
그리고 플레이버튼을 눌러봅시다.
리스폰 위치가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카메라 위치에서 리스폰되며 이렇게 끝없이 떨어진다.
Player Start를 통해 시작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PlayerStart는 플레이어의 시작위치를 알리는 'BluePrint'이다.
연한 파란색이 가리키는 방향이 정면이다. 바닥에 겹치면 BAD size라고 표시된다.
들어올렸다가 키보드의 END를 누르면 바닥에 딱 붙는다. 이건 정말 좋은 거같다.
지금은 하늘이 없어서 검은 화면이다.
하늘을 설치해보자
Sky Atmosphere : 월드의 가장 윗 부분이나 대기를 가리킴.
하지만 드래그 앤 드랍해도 아무것도 생기지 않는다.
이 액터는 혼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Directional Light 액터에 디테일에 Atmosphere and Cloud라는 옵션이 있다.
여기서 Atmosphere Sun Light를 체크하여 대기와 조명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Directional Light의 각도를 조정하면 태양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Unreal Engine > 1. Unreal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Blueprint (0) | 2021.09.15 |
---|---|
3. 비주얼 작업 - Lighting (0) | 2021.09.15 |
1. 설치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