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프로그래머스 42587 - 프린터 본문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7?language=python3
코딩테스트 연습 - 프린터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 스택/큐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새롭게 개발한 프린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
예를 들어, 4개의 문서(A, B, C, D)가 순서대로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2 1 3 2 라면 C D A B 순으로 인쇄하게 됩니다.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의 예에서 C는 1번째로, A는 3번째로 인쇄됩니다.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현재 대기목록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priorities | location | return |
[2, 1, 3, 2] | 2 | 1 |
[1, 1, 9, 1, 1, 1] | 0 | 5 |
문제 풀이
location을 index라고 생각한다면 해당 인덱스를 만나서 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계속 push pop을 계속 수행
Python
def solution(priorities, location):
answer = 1
docs = list(range(len(priorities)))
while priorities:
top = priorities.pop(0)
idx = docs.pop(0)
if len(priorities) == 0:
break
if top < max(priorities):
# 본인보다 더 큰 값이 리스트 내에 존재할 때, 본인을 맨 뒤로 보냄
priorities.append(top)
docs.append(idx)
elif idx == location:
# 본인 차례이면 종료
break
else:
answer += 1
return answer
range(variable) : 0 ~ variable - 1까지의 구간 => [0, variable)
C++
#include <deque>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1;
deque<int> priority;
deque<int> index;
for(int i = 0; i < priorities.size(); i++){
priority.push_back(priorities[i]);
index.push_back(i);
}
while(priorities.size() > 0){
int front = priority.front();
priority.pop_front();
int idx = index.front();
index.pop_front();
if(priorities.size() == 0) break;
int value = *max_element(priority.begin(), priority.end());
if(front < value){
priority.push_back(front);
index.push_back(idx);
}
else if(location == idx){
break;
}
else{
answer++;
}
}
return answer;
}
max_element function을 사용하기 위해 deque를 사용하였다.
(queue를 사용하면 queue 안의 제일 큰 원소를 알 수 없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42626 - 더 맵게 (0) | 2021.09.10 |
---|---|
프로그래머스 42584 - 주식가격 (0) | 2021.09.10 |
프로그래머스 42883 - 큰 수 만들기 (0) | 2021.09.09 |
프로그래머스 42860 - 조이스틱 (0) | 2021.09.09 |
프로그래머스 12977 - 소수 만들기 (0) | 2021.09.07 |